작품소개
[제1회 허니문 웹소설 공모전 장려상 수상작]
[삼국유사 ‘도화녀?비형랑’ 설화를 바탕으로 한 실존 역사?시대물]
서기 600년, 신라에는 두 개의 꽃이 있었다.
동백꽃처럼 붉은 피를 가진 ‘화랑’들이 그 첫 번째요,
복숭아꽃처럼 선한 마음을 가진 ‘봉화’들이 그 두 번째였으니,
그들은 모두 선문(仙門)에서 피어났다.
“나는 이리도 짙게 너를 새겼는데, 너는 나를 조금도 담지 않았구나.”
성스러운 혼이 낳은 반귀반인(半鬼半人) 화랑, 비형
“저는 기생이 아닙니다.
화랑의 뜻에 따라 아무 때나 밤을 내어줄 마음도, 여유도 없습니다.”
귀신도 홀리고 죽일 수 있는 절세가인(?世佳人) 봉화, 윤
“최선을 다해 사랑하겠다. 너를, 그리고 너의 인생을.”
한 많고 정 많은 급인지풍(急人之風) 수호신, 길달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진 세 남녀,
화랑의 본원 선문(仙門)에서 만나다!
‘좋아한다.’
노을 진 언덕처럼 따뜻한 이마.
‘좋아한다.’
연못가의 수풀처럼 보드라운 눈썹.
‘좋아한다.’
바람이 지난 호수처럼 일렁이던 눈동자.
‘좋아한다.’
달의 곡선처럼 매끄러운 콧날.
‘좋아한다.’
꽃의 혈흔처럼 붉은 입술.
‘좋아한다.’
너의 모든 것을. 온 마음을 다해.
“……좋아하고 있다.”
세상에서 가장 가련한 존재들의
가장 고결한 사랑과 우정
‘누가 뭐래도…… 너는 귀한 사람이다.’
‘꼭…… 그렇게 남아야 한다.’
+ + +
‘네가 해.’
‘……뭐?’
비형은 한 번 더 눈을 지그시 감았다 떴다. 그 눈이 여전히 윤을 향해 있었다.
‘최윤의 화랑.’
길달의 눈동자가 차게 식었다.
‘네가 해 달라고.’
윤이 누군가의 봉로화가 되어야만 한다면, 그리고 그 누군가가 자신이 될 수 없다면, 비형에게 방법은 하나뿐이었다. 결코 길달만은 안 된다고 생각했는데, 불행히도 오직 길달뿐이었다.
믿을 수 있는 사람이.
‘네가 선택하지 않으면 나는 끝내지 않는다.’
‘김비형!’
‘어서.’
끊임없이 휘몰아치는 바람에 아름답던 복숭아꽃이 거친 폭우처럼 쏟아졌고 곳곳에서 술상이 엎어져 술과 음식들이 바닥에 나뒹굴었다. 화랑과 봉화들은 바닥을 흥건히 적신 술을 피하느라 난리 법석이었다. 길달이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
‘늬들 사랑싸움에 날 이용하는 거냐?’
말은 그렇게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되고 싶었는지 모르겠다.
‘그런 거 아니다.’
최윤의 화랑.
‘후회하지 마라.’
바람이 조금씩 잦아들기 시작했다. 잦아드는 바람 사이로 길달이 걸어갔다. 고요한 들판 위를 걷는 듯 자유로운 걸음걸이에 모두의 시선이 그에게 닿았다.
어느덧 윤의 옆에 선 길달은 천천히 그녀의 손을 잡았다. 윤이 움찔하며 길달을 보았지만 길달은 그녀를 보지 않았다. 오로지 화랑들만, 특히 비형만 바라보며 잡은 손에 힘을 주었다. 윤의 가느다란 손가락 사이로 길달의 기다란 손가락이 들어왔다.
사이, 사이, 천천히, 강하게.
“화랑 길, 봉화 윤을 나의 봉로화로 명하고 대노두 석찬의 가문을 품을 것을 신국의 화랑들 앞에서 선언한다.”
어긋난 세 사람의 시선 사이로 바람에 해진 연분홍색 복숭아꽃이 다친 나비처럼 가물거리며 떨어져 내렸다.